렌트홈계산기, 헷갈릴 수 있다! 전월세 전환율 계산 방법!
- ★ 재테크/부동산
- 2020. 9. 3.
2020년 8월 19일, 홍남기 경제부총리께서 전월세 전환율을 2.5%로 하향 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. 과연 전월세 전환율을 낮춘 취지가 무엇인지, 낮추게 됨으로써 종전과 얼마나 차이나 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.
국회의 임대차 3 법 날치기 통과로 인해 임대차 시장에 큰 변화가 생겼고, 현재도 진행 중이다. 임대차 3법 시행의 가장 큰 변화라고 한다면 전세 품귀현상과 전세의 월세 가속화일 것이다. 초기 임대차 3 법 입법 당시, 정부 및 국회에서는 이 2가지를 부정하기도 했고, 월세 가속화가 당연한 현상이라고 일축하기도 했다.
그러나 여론에 압박에 못 이겨서인지, 월세의 가속화를 인정했고, 그에 따른 월세가 폭등을 막기 위해 전월세 전환율을 하향조정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.
혹자는 전월세 전환율을 하향조정하면 월세 → 전세 전환 시, 가격을 훨씬 많이 올릴 수 있다고 하는데, 아마 이 경우는 하향률이 적용되지 않을 것이다. 그래서 이번 계획을 엄밀히 얘기하면 전세의 월세 전환율 하향 이라고 함이 정확할 듯하다.
전월세 전환율 하향 조정, 이번 달 내 시행될 듯
2020년 9월 1일, 국토교통부와 법무부는 오는 10일까지 임대차 보호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을 입법한다고 밝혔다. 개정안에는 전월세 전환율 상한을 현 3.5% → 2% (여기에 기준금리를 더한 2.5%가 최종임)로 하향 조정했다.
그리고 추가로 임대인의 직접 거주를 확인할 수 있는 주택 임대차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도 명시했다. (이 부분은 나중에 자세히 다룰 예정이다)
전월세 전환율 계산법, 간단하다!
말 그대로 전세를 받다가 월세로 전환할 시, 월세를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 계산하는 방법이다. 예시를 하나 작성하여 아래의 표를 만들어 보았다.
기존 4억 5천만 원의 전세를 보증금 2억 원과 월세로 전환을 할 시, 종전까지는 약 월 83만 원을 받을 수 있었다면, 개정된 전월세 전환율을 적용한다면 약 월 52만 원 정도를 받을 수 있다. 개정 전 대비 월 -31만 원 덜 받게 되는 것이다.
계산 방법은 이러하다.
전세 4.5억 원 - 향후 보증금 2억 원 = 2.5억 원
(이 금액에 대해서 월세 전환을 하면 된다)
2.5억원 x 2.5% / 12개월 = 월 52만 원
예시를 보니, 전월세 전환율 하향에 대한 감이 확 온다. 4%이던 전월세 전환율을 2.5%로 내렸으니, 결론적으로는 37.5%를 내린 격이 된다. 엄청난 차이이다.
렌트 홈 계산기, 제대로 알고 쓰시길
국토부에서 운영하는 렌트 홈이라는 사이트가 있는데, 주목적은 임대사업자 등록을 위한 사이트이다. 이 사이트에 일명 임대료 인상률 계산이라는 항목이 있다. 사이트는 아래를 참고하길 바란다.
렌트홈(임대등록시스템)
www.renthome.go.kr
우측에 임대료 인상률 계산이라는 버튼이 있다. 이것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.
종전에 예시로 한 전세금 4억 → 보증금 2억 + 월세의 상황을 그대로 넣었는데, 결과가 완전히 다르게 나왔다. 아까는 83만 원, 52만 원이었는데 이번엔 90만 원?? 이건 도대체 뭐지??
일부 블로거들이 렌트 홈 계산기에 대한 정확한 이해 없이 그냥 이대로 계산해서 월세를 받으면 된다고 딱 올라와 있는걸 많이 봤는데, 이건 의미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. 이건 전세금 인상률 상한 인 5%를 적용함과 동시에 월세로 전환하였을 때를 기준으로 계산된 상황이다.
예시로 다시 말한다면, 4억 5천 전세에서 2년 계약이 만료되어 전월세금을 5% 최대로 올리고, 그러고 난 후 2억 + 월세 전환을 한다면 월세가 90만 원이 된다는 내용이다. (전월세 전환율 2.5% 적용 전이기 때문에, 여기에서는 종전 기준인 4%로 계산이 된다)
의미를 정확히 알고 사용하도록 하자.
아 복잡하다. 그냥 딱 넣으면 딱 나오는 거 없나?
이도 저도 복잡하다. 난 올리지도 않고 그냥 지금 받는 전세로 보증금을 낮추고 월세 얼마 받을 수 있나,라고 궁금해하는 사람들을 위해 준비했다.
네이버 검색창에 전월세 전환 계산이라고 입력하면 쉽게 계산기 사이트를 찾을 수 있다. 이곳 중 한 곳을 들어가 보았다. 여기에 접속하면 전월세 전환 계산기가 아주 쉽게 표현되어 있다.
여기에 전월세 전환율 2.5% 넣고, 전세보증금 4억 5천만 원 기입. 그리고 월세 보증금을 2억 원으로 넣고 계산을 하면 53만 원이 뙁!! 속 시원하게 쉽게 빠르게 계산 끝.
바야흐로 부동산 정책 혼란기에 살고 있는 우리로서, 무주택자, 1 주택자, 다주택자 모두 이제는 부동산 정책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해야 한다.
아는 만큼 청구할 수 있고, 알아야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. 이러한 내용도 임대인은 물론 무주택 임차인도 반드시 알아야만 부당한 계약을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.
한 번은 따져보고 전월세 계약을 진행하도록 하자.
'★ 재테크 > 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토부 아파트 실거래가 조회, 이제 쉽게 보자 (2) | 2020.09.05 |
---|---|
8월 4주차 기준, 주간 부동산 시세 동향 (KB부동산 보도자료) (0) | 2020.09.05 |
부동산 세법 개정안 총정리 (취득세 편) (0) | 2020.09.01 |
달라진 양도소득세율, 모르면 핵폭탄 맞는다! (2) | 2020.09.01 |
경기도형 기본주택, 임대 주택이랑 달라? (0) | 2020.08.31 |